[9/9 프로젝트]
ㅁDID, 빅체인 DBMS의 활용도가 높다. (아직은 잘 안쓰지만) 이를 통해서 블록체인 상용화
ㅁ오늘 할 일 (G.coffee 회의)
1) 프로젝트 팀 파일공유 위한 깃허브 레포짓 사용.
ㅇ이제는 깃허브를 이용한 팀프로젝트가 가능할 것 같아요-
-우리깃허브(응사이트): https://github.com/dmdsite/dmdsite
dmdsite/dmdsite
2019.09. 1st Project : ejc(bootstrap), blockchain, dapp etc - dmdsite/dmdsite
github.com
-유용한사용을 참조: https://milooy.wordpress.com/2017/06/21/working-together-with-github-tutorial/
-소스트리 사용: https://www.sourcetreeapp.com/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2) DID 알아보기.
ㅇOauth를 먼저 보라고 하심 : 프로토콜의 종류. 이것을 활용해서 DID기술 구현.
-https://minwan1.github.io/2018/02/24/2018-02-24-OAuth/
OAuth Core 1.0
[RFC2616] Fielding, R., Gettys, J., Mogul, J., Frystyk, H., Masinter, L., Leach, P., and T. Berners-Le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RFC 2616. [RFC2617] Franks, J., Hallam-Baker, P., Hostetler, J., Lawrence, S., Leach, P., Luotonen, A., and L
oauth.net
3) defi 디파이: https://cobak.co.kr/community/3/post/173263
크립토 업계의 화두 '디파이(DeFi)' - 코박
탈중앙화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ㅎㅎ한 번씩 읽어보셔도 좋을 듯 싶네요^^(오현석의 블록체인 생태계 읽기)크립토 업계의 화두 '디파이(DeFi)' 기...
cobak.co.kr
4) 빅체인 DB 정리.
ㅁ빅체인 DB (블록체인 DBMS)_강사님 수업자료.
ㅇNoSQL DB의 한 종류.
ㅇ블록체인과 접목하여 현재 가장 적합한 솔루션
- 빠르고 많은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솔루션.
- 가스비, 컴퓨팅파워, 너무 많은 노드에 전파 등 경제적 부담을 커버할 솔루션.
ㅇ기존 DB와의 차이점 : Owner Controlled Assests.
- 허브 - 존 개념. 이더리움도 붙이고 비트코인 붙이고 다른 사이드 체인도 필요하다면 붙임. ‘Interchain’의 개념.
- 블록체인 끼리 통신하고 블록체인끼리 스테이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인터체인.
- 가장 먼저 이 기술을 표방했던 것이 cosmos(Jaekwon).
- 빅데이터 DB를 쓰고 싶은데 가장 산업화 된 것이 몽고DB. 그런데 블록체인에 쓰려면 한명에게 컨펌받아야 했고
- POW블록체인은 안되고, POS도 부적합했음.
- Owner Controlled Assests.(1인컨펌) . 가장 적합한 것이 tendermint(텐더민트, cosmos) BFT 였음.
ㅇ기존 mySQL 와는 다르게 스케일 아웃하는 모델에 아주 적합한 것이 몽고디비.
- 몽고DB는 NoSQL DBMS.
ㆍ개발자 친화적 데이터 교환 시 BSON(Binary JSON) 문서형태로 저장,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과 확장에 용이함.
ㆍ방대한 데이터 신속 처리. 윈도우, 리눅스, 맥OS 등 다양한 운용체계(OS)를 지원.
ㆍ개발자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등 어느 환경에서든 어플을 빠르게 개발·구축하고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도움.
ㆍ기업은 몽고DB '아틀라스'를 활용해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에 DB를 배포하고 운영가능.
ㆍ아틀라스는 아마존웹서비스(AWS) 서울리전, 마이크로소프트(MS) 서울·부산리전을 기반으로 서비스.
ㆍ몽고DB를 채택한 기업 다수는 오라클 DB를 병행 사용한다.
ㅇ업체가 많이 쓰는 것이 다중접속 퍼포먼스가 뛰어난 NginX (아파치 말고)
ㅇABCI(Application BlockChain Interface) : 외부체인과 연결하기 위한 규격을 맞추는 기능. 기술명.
ㅁ빅체인데이터서비스 = 몽고디비 + 텐더민트. 강사님 수업자료.
1) 몽고디비 : 백엔드DB로 사용. 빅데이터에 최적화된 DB. Scaleable.스케이러블리티 (스케일 이슈해결)
ㅇ몽고DB의 특장점인 2가지 기술 “이것 때문에 쓴다” :: 샤딩과 리플리케이션.
ㅇ샤드(Shard) “샤딩” 큰 용량 분할 저장. 스케일아웃. 스케일 문제 해결 “샤드 = 쪼가리”
-1개 데이터에 대해서 3번의 리플리케이션. 3개 이상 있어야 찾기, 복사하기 좋다. 그래서 3개 이상 세트 구성.
-1TB를 256GB로 나누는 것을 ‘샤딩’이라고 함.
-(1TB의)데이터를 똑같이 (최소 3개로) “복사”하는 것을 ‘리플리케이션’ 이라함.
-해쉬 기능이 없는 것 뿐이지, 분산저장으로서는 블록체인과 같다.
-피씨 안에 여러 샤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지만, ”몽고스“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이를 통해 접속을 한다.
ㅇ샤딩하고 리플리케이션을 묶은 다음에 몽고스.
2) 텐더민트 : 블록체인 인터페이스
(유명 블록체인, 재권님 논문도 있음, DPOS 방식=이오스 방식인데 이오스 보다 먼저 나옴)
아톰. 대표적으로 코스모스코인에서도 사용중.
( 코스모스코인 : http://wiki.hash.kr/index.php/%EC%BD%94%EC%8A%A4%EB%AA%A8%EC%8A%A4%EC%BD%94%EC%9D%B8 )
코스모스코인 - 해시넷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로고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로고와 글자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宇宙币) 또는 간략히 코스모스(Cosmos)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코스모스체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블록체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해 마치 블록체인 인터넷(internet of blockchain)처럼 상호 연계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코스모스 네트워
wiki.hash.kr
ㅁEJS 는 발달된 HTML
ㅇ사용하기 위해 환경설정이 필요 : npm install ejs, express
ㅇ익스프레스를 진행할 때에 ejs 모듈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해야함.
'2019' Blockchain developer class > Jo_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dsite] #6. Fin. (0) | 2019.11.25 |
---|---|
[dmdsite] #4. library (0) | 2019.11.25 |
[dmdsite] #3. opensource (0) | 2019.11.25 |
[dmdsite] #2. fail & reboot (0) | 2019.11.25 |
[dmdsite] #1. brainstorming (0) | 2019.11.25 |